꿍작꿍작·아코

아코디언의 기초 6편 - 베이스 익히기

다음에...^^* 2012. 4. 6. 16:30

 

통상 볼 때 조표마다 key가 메이저 하나, 마이너 하나 해서 두 개가 나옵니다.
그런데 통상 하나는 얼른 알겠는데 하나는 아리송 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때는 메이저와 마이너 사이는 한음 반 차이로 나열되어 있는데 위는 메이저, 밑은 마이너입니다.

 

o 조표가 하나도 없을 때 → C는 알겠는데 하나는?    C(도)에서 밑으로 한음 반 내려오면 A(라)니까 Am

o 조표가 하나도 없을 때 → Am 는 알겠는데 하나는?     A(라)에서 위로 한음 반 올라가면 C(도)니까 C

o # 일 때 → G 는 알겠는데 하나는?      G(솔)에서 밑으로 한음 반 내려가면 E(미)니까 Em

o # 일 때 → Em 는 알겠는데 하나는?      E(미)에서 위로 한음 반 올라가면 G(솔)이니까 G

o ## 일 때 → D 는 얼른 알겠는데 하나는?    D(레)에서 밑으로 한음 반 내려가면 B(시)니까 Bm


o ### 일 때 → A 는 얼른 알겠는데 하나는?    A(라)에서 밑으로 한음 반 내려가면 F#이니까 F#m


o b 일 때 → Dm 는 얼른 알겠는데 하나는?   
D(레)에서 위로 한음 반 올라가면 F(파)니까 F

 

 

여러분들 스스로가 24개 key의 경우 어떻게 내려오는지 연구해 보시기 바랍니다. 힌트를 드릴까요?

 

아코디언을 메었을 때 밑으로 부터 위로 Gb Db Ab Eb Bb F C G D A E B F# C# G# D# A# 순인데

         - G key의 경우      ← C, D7
         - A key의 경우      ← D, E7
         - B key의 경우      ← E, F#7
         - C# key의 경우    ← F#, G#7
         - Db key의 경우    ← Gb, Ab7
   
         - Gm key의 경우   ← Cm, D7
         - Am key의 경우   ← Dm, E7
         - Bm key의 경우   ← Em, F#7
         - C#m key의 경우 ← F#m, G#7
         - Dbm key의 경우 ← Gbm, Ab7
         - Bbm key의 경우 ← Ebm, F7

 

C key에서는  기본화음이 C 니까 양쪽으로 어깨 동무를 해 보면 버금 딸림 화음으로  F가
따라 내려 오고 딸림 화음으로는 G7 이 따라 내려 오죠.

 

“모든 음계는 조의 중심적 존재인 으뜸음(토닉)을 기점으로 하여 그 위쪽에 Key의 성격을
나타내는 주요 음을 계단식으로 배열합니다.”

여기서 모든 음계라는 것은 장조(Major Key)와 단조(minor Key)를 말하며 중심적 존재인
으뜸음(토닉) 이란 위의 12개 경우에서 시작 음인 적색 표시의 음을 말하며 그 위쪽에 
Key의 성격을 나타내는 주요 음을 계단식으로 배열한다는 말은 보시다 시피 으뜸음을 시작
으로 해서 “도레미파솔라시도” 가 되도록 계단식으로 배열해 놓았지 않습니까?

 

 1. C 건반부터 시작해서 “도레미파솔라시도“ → C, D, E, F, G, A, B, C  

 2. 이번엔 반음을 올려서 Db부터 시작해서 → Db, Eb, F, F#, Ab, Bb, C, Db

 3.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D부터 시작해서 → D, E, F#, G, A, B, Db, D

 4.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Eb부터 시작해서 →  Eb, F, G, Ab, Bb, C, D, Eb

 5.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E부터 시작해서 → E, F#, Ab, A, B, Db, Eb, E

 6.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F부터 시작해서 → F, G, A, Bb, C, D, E, F

 7.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F#부터 시작해서 → F#, Ab, Bb, B, Db, Eb, F, F#

 8.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G부터 시작해서 → G, A, B, C D, E, F#, G

 9.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Ab부터 시작해서 → Ab, Bb, C, Db, Eb, F, G, Ab

10.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A부터 시작해서 → A, B, Db, D, E, F#, Ab, A

11.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Bb부터 시작해서 → Bb, C, D, Eb, F, G, A, Bb

12. 이번엔 또 반음을 올려서 B부터 시작해서 → B, Db, Eb E, F#, Ab, Bb, B

 

또한 위의 12가지 경우에 있어서 각각 출발점인 적색음은 바로 Key의 명칭이 됩니다.

       1번의 경우 → C Major (시 메이저)

       2번의 경우 → Db Major (디플렛 메이저)

       3번의 경우 → D Major (디 메이저)

       4번의 경우 → Eb Major (이플렛 메이저)

       5번의 경우 → E Major (이 메이저)

같은 요령으로 12번의 경우까지 여러분들이 읽을수 있으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