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오 죽음이란 한 조각 구름이 스러짐이다 구름은 본시 실체가 없는 것 죽고 살고 오고 감이 모두 그와 같도다 ... (西山大師)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死也一片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浮雲自體本無實 (부운자체본무실)
生死去來亦如然 (생사거래역여연)

한국의 전통악기 중 죽부(竹部)에 속하는 공명악기(共鳴樂器). |
저 또는 젓대라고도 하며 한자로 적(笛)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악기를 가로로 비껴들고 한쪽 끝부분에 있는 취구(吹口)에 입술을 대고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가로로 부는 대표적인 악기이다.
대금은 삼국사기에 중금(中 )·소금(小 )과 함께 신라 삼죽(三竹)이라 하여 그어휘가 처음 보이며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중앙아시아나 중국 대륙에서 사용되던 것이
고구려에 전해지고 다시 신라에 받아들여져 정착된 듯하다.
재료로는 해묵은 황죽(黃竹)이나 쌍골죽(雙骨竹)이 쓰인다.
쌍골죽은 마디 사이가 짧고 살이 두껍고 단단하여 호흡으로 인한 습기에 잘 견디며
맑고 여문 소리를 내기 때문에 황죽보다 즐겨 쓴다.
음역은 2옥타브 반 정도에 이른다. 음색은
저취(低吹)에서는 폭넓고 부드러운 소리
평취(平吹)에서는 맑은 소리
역취(力吹)에서는 꿋꿋한 느낌의 장쾌한 소리 등을 지니고 있으며
그 변화가 다양하여 독주악기로 애용된다.
이보다 장2도 정도 높은 소리를 내는 산조대금(시나위대금)이 있다.
2가지 모두 합주곡을 연주하기 전 여러 악기들의 조율기준으로 사용되는데
이 관습은 고려시대에도 있었다.
|